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WSL의 개념, WSL1, WSL2 비교(Window Subsystem for Linux) 1. WSL (Window Subsystem for Linux)의 개념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은 Microsoft가 개발한 Windows 운영 체제에서 Linux 환경을 실행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WSL은 Windows 10 이상의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Windows 환경과 별개로 Linux 바이너리 및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WSL은 기본적으로 Ubuntu 배포판을 지원하지만, Windows 10 버전 2004부터는 다른 Linux 배포판인 Fedora, Debian 등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는 Microsoft Store를 통해 원하는 Linux 배포판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WSL을 사용하면 Wind.. 더보기
뚝섬역 분위기 독특한 이자카야 압구정수산시장(해산물, 쯔키치시장 st.) 뚝섬역 근처에 그동안 독특한 횟집이나 이자카야가 별로 없었는데 최근에 쌈빡한 이자카야가 생겼습니다. 이걸 이자카야 라고 해야할지 좀 애매하긴 한데 일본 쯔키치 시장통 분위기를 그대로 옮기려고 노력을 많이 한것 같습니다. 성수동인데 이름은 압구정수산시장이고 내부는 일본 쯔키지 시장 분위기라니... 약간 복잡합니다. ㅋㅋㅋ 1. 위치 https://naver.me/x3i1iv21 압구정수산시장 : 네이버 방문자리뷰 44 · 블로그리뷰 25 m.place.naver.com 2. 외관 및 내부 둘러보기 오늘 한번 방문해봤는데 볼거리가 많네요. 인테리어에 많이 신경쓴 느낌입니다. 수산시장처럼 생선박스도 쌓아놓고... 요즘 모조품 만드는 기술이 이정도인가 싶을 정도로 각종 해산물을 잘 만들어 놓았습니다. 정말 진.. 더보기
남한산성 경성빵공장 나들이(주차정보포함) 주말 날씨가 좋아 근교에 베이커리 카페를 찾아 나들이를 나가보았습니다. 요즘 정말 베이커리 카페가 많습니다만 서울에서 바로 30분 거리에 있는 남한산성 경성 빵공장을 찾아가보았습니다. 경성 빵공장은 체인이어서 올림픽공원 근처에도 있지만 바람도 쐬고 드라이브도 할겸 일부러 남한산성에 있는 빵공장으로 향했습니다. . https://goo.gl/maps/kZqxY6J2GyCkAXV37 경성빵공장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14 ★★★★☆ · 커피숍/커피 전문점 www.google.co.kr 남한산성 유원지에 진입하고 얼마 가지 않아 경성 빵공장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주자장은 빵공장 건물 오른편에 있습니다만 상당히 협소해서 이미 만차였습니다. 빵집 앞 도로가 2차선이고 차들이 계속 지나가기때문에.. 더보기
리눅스 쉘스크립트로 MAC 주소 가져오기(MAC 값으로 hostname 변경) # ifconfig를 이용해 MAC 가져오기 mac_address=$(ifconfig eth0| grep -oE '([0-9A-Fa-f]{2}:){5}[0-9A-Fa-f]{2}' | head -n 1) # MAC에서 콜론 제거 mac_address_no_colon=${mac_address//:/} # 하위 6자리만 추출하기 last_six_digits=${mac_address_no_colon:6} #확인 echo "$mac_address" echo "$mac_address_no_colon" echo "Last 6 digits without colon: $last_six_digits" #하위 6자리를 포함하여 hostname 변경 myname="host-$last_six_digits" echo "$myna.. 더보기
리눅스 호스트 네임 변경하기(hostname, hostnamectl) 리눅스에서 hostname은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할당된 고유한 이름입니다. 호스트네임은 네트워크에서 다른 시스템과 통신할 때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네트워크 관리 및 구성, 서버 식별, 로그 분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스트네임은 다른 컴퓨터나 네트워크에서 접근할 수 있는 유효한 이름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문자, 숫자, 하이픈(-)으로 구성되며, 최대 길이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 호스트 네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hostname host001 이 명령어는 실제로 /etc/hostname 파일에 기술된 이름 >cat /etc/hostname host001 1. 호스트 이름 변경하기 (1) 호스트명을 변경하려면 /etc/hostname 파일의 내용을 직접 수정 (재.. 더보기
고교학점제 실시, 차이점, 운영방법, 이수학점, 평가방법 (2025년 도입) 지금 중2인 딸이 고등학교에 올라가는 2025년이 되면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된다고 합니다. 고교학점제가 무엇이고 도대체 어떻게 달라지는 것인지? 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이것 저것 찾아보았습니다. 교육부나 교육개발원, 시도교육청에서 나오는 광고성 좋은 말은 다 빼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림이나 만화는 주로 고교학점제 홈페이지의 자료에서 캡쳐하여 사용하였습니다. https://www.hscredit.kr/ 고교학점제포탈 고교학점제포탈 www.hscredit.kr 1. 고교학점제의 특징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1)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 선택 기존 :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더보기
리눅스, USB에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기(libusb 사용, 블루투스 동글 등) libusb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usb에 연결된 장치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1. libusb 소스 빌드 https://libusb.info/ libusb Overview libusb is a C library that provides generic access to USB devices. It is intended to be used by developers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applications that communicate with USB hardware. It is portable: Using a single cross-platform API, it provi libusb.info 위사이트에서 libusb-1.0.26 소스를 내려받아 다음과 같이 빌드하고 .. 더보기
파일 전송 프로토콜 개념과 유용한 프로그램(filezilla, winscp, cyberduck)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FTP)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서버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파일 공유, 웹 호스팅,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 백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FTP를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려면 FTP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FTP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전송합니다. 일반적인 파일전송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보면 일반적으로 몇가지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있는데 주로 ftp, sftp, scp를 제공합니다.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FTP.. 더보기

반응형